catengineering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catengineering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40) N
    • 日本語🗾 (34)
      • 参考資料📚 (9)
      • 勉強日誌📙 (19)
      • 歌の単語🎶 (6)
    • キラキラ✨ (119)
      • back number🎸 (35)
      • Official髭男dism🎹 (10)
      • ZARD🎷 (12)
      • ラブライブ!❤️‍🔥 (10)
      • =LOVE🩷 (8)
      • ≒JOY (2)
      • マルシィ (3)
      • SEKAI NO OWARI (2)
      • ClariS (2)
      • アイドル (10)
      • アニメ📺 (8)
      • 女歌手💃 (8)
      • 男歌手🕺 (9)
    • 낙서장 (154) N
      • 일기 (135) N
      • 짧 (9)
      • 노래 추천 (2)
      • 벌크업 일지🏋️‍♂️ (8)
      • 💸 (0)
    • Mathematics (13)
      • Representations Theory (10)
      • Abstract Algebra (3)
    • Physics (13)
      • Quantum Computing (8)
      • Electromagnetism (1)
      • Mathphysics (3)
      • Quantum Field Theory (1)
    • 대학원 (3)
      • 대학원 진학 관련 (1)
      • 발표 자료 (2)
    • 스크랩 (0)
      • 꿀팁 (0)

검색 레이어

catengineering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첫 학회 후기

    2023.07.05 by catengineering

  • TOEIC 시험

    2023.07.05 by catengineering

  • 한 달이나 지난 대학교 10학기 종강 후기

    2023.07.05 by catengineering

  • 시험 기간에 양자장론을 공부하면서...

    2023.06.03 by catengineering

  • 현대대수학II 기말고사 대비 요약

    2023.05.30 by catengineering

  • Quantum Algorithm #3

    2023.05.29 by catengineering

  • Quantum Algorithm #2

    2023.05.29 by catengineering

  • Induced Representation: Revisit

    2023.05.24 by catengineering

첫 학회 후기

대학교를 오래 다니면서 학회 한 번 가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KIAS에서 주최하는 Quantum Information Workshop을 처음 가봤다. 소규모긴 했지만 그래도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동기부여도 됐고, 다른 물리학자들은 어떤 연구를 하는지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처음 물리 관련 논문들을 봤을 때는 솔직히 써져 있는 수식조차 이해를 못하겠었다. 이해를 떠나서 이게 뭘 말하는지 조차 알 수가 없었다. 그냥 상형문자들이 써져있는 느낌이었다. 나는 나름 기계과에서 수식을 잘 다룬다고 생각했고, 원서를 읽을 때도 텍스트에서 지식을 뽑아낸다기 보다는 수식을 직접 전개해 보면서 흐름을 따라가면서 지식을 뽑아내는 방식의 공부를 했다. 근데 수식이 뭔지 하나도 모르겠었다!그런데 이제는..

낙서장/일기 2023. 7. 5. 22:32

TOEIC 시험

난 영어를 지독하게 못한다. 진짜 진짜 못함. 백문불여일견이라고 대학교 입학하고 처음 친 토플 고작 110? 120?점 만점에 33점 나왔었다. 더 가관인 건 LC 1점, RC 1점, SP 11점, WR 20점이었다. 아니 영어 10년 공부한 사람인데 LC, RC 1점 말이 됨??ㅋㅋㅋㅋㅋ 심지어 모의? 기관? 토플이라 진짜 토플보다 점수 잘 주는데... 이렇게 됐다. 고등학교 때도 영어 못해서 2년 내내 6등급... 암튼 이제 대학원도 곧 가고 영어 성적이 곧 필요해질 것 같아서 미리 따두려고 시험 쳤다. 토익은 마지막으로 쳤던 게 중학교 2학년 땐가 495점 받았던 것 같다. 진짜 이때도 엄 그 자체...종강하고 한 2일 공부하고 쳤는데 무려 725점!! 한 모의고사 3개 정도 풀었는데 도움이 됐나..

낙서장/일기 2023. 7. 5. 22:07

한 달이나 지난 대학교 10학기 종강 후기

종강한지 벌써 거의 한 달이나 지난게 믿기지 않는다... 종강하고 나서 나의 소중한 한 달을 잡아먹어 버린 괴물은 바로 엘든링...이건 아니야! 흑흑 이제 공부해 빛바랜 자 🥲 1. 공부 이번 학기는 솔직히 공부로는 그렇게 힘들지는 않았던 것 같다. 현대대수학II는 현대대수학I 수업을 독학한 것 치고는 다른 수학과 과목들이랑 난이도나 공부 시간이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 같다. 난이도는 응용복소함수론 보다 조금 더 어렵고 위상수학 보다는 쉬웠던 것 같다. 응복함은 솔직히 공부하면서 술술 읽혀내려갔고, 막 이해가 되지 않는 것들은 없었다. 오히려 미분방정식이 어려운 부분들은 더 어려운 느낌적인 느낌. 위상수학은 중간고사 이전 범위는 술술 읽혔는데, Urysohn's Lemma, Tietze Extensi..

낙서장/일기 2023. 7. 5. 19:29

시험 기간에 양자장론을 공부하면서...

지금은 기말고사 기간이다. 그런데 공부가 너무 하기 싫다. 정확히는 시험 공부가 하기가 싫다... 공부를 하면서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새로운 걸 공부하는 건 늘 재밌다.내가 생각하기에 새로운 걸 배우는데는 크게 2개의 진입 장벽이 있다. 하나는 심리적인 장벽이다. 새로운 걸 시도하는 것에 뇌가 본능적으로 거부 반응을 보인다. 이건 나도 수학과 물리는 전공으로 갖기 전에 수학과 물리를 보면서 느꼈던 장벽인데, 이해를 못하는 대충 슥 훑어봤을 때 뭔지도 모를 기호들이 난무하니까 그냥 이해가 될 거리가 없어서 이해가 하기 싫었다.$($대신 공부해서 이해해버리고 싶다는 그런 괴상한 욕망들이 들끓곤 했다.$)$ 그런데 이제는 새로운 걸 시도를 많이 하다 보니까 뇌가 적응한건지 크게 심리적인 장벽이 없는 것 같다..

낙서장/일기 2023. 6. 3. 12:15

현대대수학II 기말고사 대비 요약

시간은 또 흐르고 흘러 기말고사 기간이 되었다. 수학과 복수 전공을 하면서 대수를 한참 동안이나 안 들어서 대수는 도대체 언제 듣나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겨울방학에 대수I을 1학기에는 대수II, 표현론까지 공부하게 되어버렸다ㅋㅋ 난데 없이 수학 과목 중에서 제일 많이 들은 과목이 대수가 되어버린 셈이다... 그래도 인내심을 갖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면 이해가 크게 안되는 개념은 잘 없었던 것 같다. 이미 위상이랑 해석학에서 혼이 크게 나서 그런 걸지도... 체감 난이도는 대수

Mathematics/Abstract Algebra 2023. 5. 30. 05:28

Quantum Algorithm #3

5. Grover Algorithm Grover Algorithm은 인도 컴퓨터공학자 Grover에 의해 제시된 알고리즘으로 $N$개의 박스 속에서 원하는 자료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전체적인 회로는 모든 상태를 중첩시키고, 원하는 상태를 뒤집고, 이를 증폭시키는 3개의 과정을 거친다. 차근차근 알아보자. 1. Step 1: State Preparation 총 상태는 $n$개의 qubits가 중첩된 $\left| s \right\rangle$이고, 정답은 하나의 qubit인 $\left| w \right\rangle$ 이고 오답들은 $n-1$개의 qubits가 중첩된 $\left| s' \right\rangle$로 표현할 수 있다. 또, 이를 RLC 위상을 표현하듯이 2차원 평면에 표현할 수 있다. 2. ..

Physics/Quantum Computing 2023. 5. 29. 21:49

Quantum Algorithm #2

3. Quantum Phase Estimation Quantum Phase Estimation$($이하 QPE$)$는 말 그대로 연산자의 phase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양자역학에서 쓰이는 연산자는 유니터리 연산자이기 때문에 연산자의 고유값은 norm이 1이여야한다. 이를 표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U = e^{2 \pi i \theta}$이다. 여기서 우리는 $\theta$를 구하고 싶은 것이다. 전체적인 회로는 다음과 같다. 전체 회로 결과가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더라도, 지금까지 공부한 지식 덕분에 해당 gate들이 어떤 operation을 수행하는지는 파악할 수 있다. 그럼 본격적으로 차근차근 $\theta$를 찾아보자. 1. Setup: $\left| \psi \right\rangle..

Physics/Quantum Computing 2023. 5. 29. 21:10

Induced Representation: Revisit

솔직히 저자 서문에서 언급한 물리/화학자를 위해 쓴 PART I이 지나면서 너무 어려웠다. PART II는 공부하거나 이해할 엄두조차 나지 않았고, 학교 다니는 5년 간 처음으로 백지 과제도 내봤다. 그래도 마음 편하게 먹고 여유롭게 공부하니까 또 어느 정도는 이해가 가길래 이해한 내용들 정리도 할 겸 블로그에 정리해본다. 요즘, 기계과 대학원을 가려다가 물리과 대학원으로 방향을 틀다 보니 과도기에 놓여있는 것 같다. 남들에 비해 물리 진도가 뒤쳐진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급하고, 또 이번 여름 방학부터 본격적으로 연구하려고 하니 더 급하다. 그래서 공부가 안되면 물리과에 적응 못하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으로 번지는 것 같다. 난 원래 공부 잘 될 때 안 될 때가 확실한 타입인데... 그래도 사쿠라이 공부도 점..

Mathematics/Representations Theory 2023. 5. 24. 02:1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10-16 01:36

페이징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다음
TISTORY
catengineering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